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머니파이터(남편) 입니다.
요즘, 이런 생각 다들 해보셨죠?
"물가는 오르고..월급은 그만큼 안 오르고.... 돈의 가치가 계속 떨어지는 것 같아"
저도 이러한 고민 속에서 금 투자를 시작하고 있는데요.
왜 많은 사람들이 금 투자를 하는지, 어떻게 금 투자하는지 제가 공부한 것들을 함께 공유하고자 합니다!
.
.
오늘은 1단계로 금 투자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줄 요약
- 🏦 인플레이션 방어: 금은 시간이 지나도 가치가 유지되며, 물가 상승 시 가격이 오르는 경향이 있음.
- 🔒 안전자산 역할: 금융위기, 전쟁 등 불확실한 상황에서 금 가격이 상승하는 경우가 많음.
- 📊 포트폴리오 다각화: 금은 주식·채권과 상관관계가 낮아 투자 리스크를 분산하는 데 도움을 줌.
- 🌍 중앙은행의 금 보유: 주요 국가 중앙은행들이 경제 안정을 위해 상당한 금을 보유하고 있음.
- ⛏️ 희소성과 한정된 공급: 금은 채굴할 수 있는 양이 제한되어 있어 시간이 지나도 희소성이 유지됨
🔍금 투자의 필요성
1. 인플레이션 헤지: 금은 왜 화폐보다 강한가?
물가는 계속 오르는데, 내가 가진 돈의 가치는 점점 줄어드는 것 같지 않나요?
이게 바로 **인플레이션(Inflation)**의 영향입니다.
📌 핵심 포인트:
- 미국 달러 대비 금 가격 변화: 1980년 1온스 금 가격
= $600 → 2024년 1온스 금 가격 = $2,000 - **연평균 인플레이션율 2~3%**를 고려하면, 금을 보유하는 것이 실질 자산 가치를 유지하는 전략
따라서 "금은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서 장기적인 자산 보호 효과를 갖는다."
아래 그림들과 같이 물가가 상승(소비자물가지수, CPI 상승)할 때, 금의 가격은 상승합니다.
금 가격의 상승은 CPI의 상승 비율 폭이 클 때 더욱 도드라집니다.
💡그렇다면, 인플레이션이 심해질 때 어떻게 해야 할까요?
👉 금이 답입니다!
금은 희소성이 높아 물가가 상승할수록 가치도 오르는 경향이 있습니다.
법정 화폐(원화, 달러 등)와 달리 중앙은행에서 무제한으로 찍어낼 수 없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이 심할수록 금의 가치가 더 빛을 발합니다.
📌 실제 사례:
- 1970년대 오일쇼크 → 인플레이션 폭등 → 금값 5배 상승
- 2020년 COVID-19 팬데믹 → 전 세계 공급망이 붕괴되고 대규모 부양책과 통화 정책으로 물가 상승 압력 → 금 값 강승


2. 경제 위기 & 금융 불안정 속에서 빛나는 안전 자산
주식, 부동산, 가상자산(코인) 등은 경제 상황에 따라 급격한 변동을 보입니다.
반면, 금은 금융시장과 독립적인 흐름을 가지며, 위기가 올수록 더 주목받는 안전 자산입니다.
경제가 불안할 때, 사람들이 가장 먼저 찾는 자산이 바로 금입니다.
📌 실제 사례:
- IMF 외환위기(1997년) → 원화 가치 폭락, 금값 상승
-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 주식 시장 폭락, 금값 사상 최고치 경신
-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 불확실성 증가로 금값 2,000달러 돌파
불확실성이 커질 때 주식, 부동산 등 위험자산의 가격이 급락할 수 있지만, 금은 상대적으로 가치가 안정적입니다. 특히 금융위기, 전쟁, 경기 침체 등의 위기 상황에서 금 가격이 상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3. 포트폴리오 다각화 – 변동성을 줄이고 자산을 안정적으로 관리
금은 주식, 채권 등과 상관관계가 낮아 포트폴리오에 추가할 경우 리스크를 분산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투자 자산을 주식이나 부동산에만 집중하는 건 위험합니다.
💡만약 주식 시장이 폭락하면 어떻게 될까요?
👉 내 자산도 함께 무너질 가능성이 크겠죠.
그래서 많은 투자자들은 포트폴리오에 금을 포함시킵니다.
📌 포트 폴리오 예시 :
- 주식 50% + 부동산 30% + 금 20% → 경기 침체 시 포트폴리오 리스크 완화
- 주식 70% + 채권 20% + 금 10% → 주식 시장 급락 시 금이 방어 역할
아래 그림은 S&P와 금의 관계 입니다.
금은 주식과 상관관계가 낮아 시장 충격이 클 때 방어 역할을 합니다. 금자산은 하방 경직 성향이 있어, 장기적으로 자산 변동성을 낮추고, 안정적인 수익을 가져갈 수 있습니다. (금의 하방 경직은 추후에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4. 중앙은행과 금 : 금 보유량, 지속적인 금 매입
전 세계 중앙은행들은 외환보유고의 일부를 금으로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 중국, 독일 등 주요 국가들은 상당한 양의 금을 보유하며 경제 안정을 꾀하고 있습니다. 2024년 기준 미국은 약 8,133톤의 금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전 세계 중앙은행 보유량의 약 25%를 차지합니다.
이는 금이 글로벌 금융 시스템에서 여전히 중요한 자산임을 보여줍니다. IMF와 세계 각국의 중앙은행들은 법정화폐의 가치를 보완하기 위해 금을 비축하는데, 이는 금이 시간이 지나도 신뢰받는 자산임을 의미합니다.

특히 달러패권에 도전을 하는 러시아, 중국을 포함한 BRICS 국가들의 금 매입량이 눈에 띕니다.
탈달러와 관련된 사항은 추후에 별도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Here's how central banks have used gold in the last 30 years | World Economic Forum
📌 실제 데이터:
- 미국 연준(Fed): 세계 최대 금 보유국 (약 8,100톤 보유)
- 중국 중앙은행: 최근 10년간 금 보유량 2배 증가
- 러시아 중앙은행: 외환보유액 중 금 비중 확대
5. 한정된 공급
금은 자연에서 채굴할 수 있는 양이 한정되어 있어 시간이 지나도 희소성이 유지됩니다. 반면, 법정화폐는 정부의 정책에 따라 무제한으로 발행될 수 있어 인플레이션 위험이 따릅니다.
현재까지 채굴된 금의 총량은 약 20만 톤으로 추정되며, 매년 약 3,000톤 정도가 추가로 채굴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금광의 채굴 난이도가 점점 증가하면서 공급량은 점점 줄어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 금의 공급이 줄어들면 어떤 일이 발생할까요?
👉 금의 희소성이 높아지고, 이는 곧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채굴 난이도는 채굴 비용과 연관이되고, 채굴 비용은 금의 가격과 연관이 됩니다. 이것은 추후에 별도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 실제 데이터:
- 1970년대: 연간 금 채굴량 1,500톤
- 2020년대 이후: 연간 금 채굴량 3,000톤 수준 → 하지만 신규 금광 발견률 급감
🏆 결론: 금 투자는 필수다!
- 인플레이션 방어 효과 → 돈 가치가 떨어질수록 금값 상승
- 경제 위기 때 더욱 빛나는 안전 자산
-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통해 리스크 분산 가능
- 금은 채굴량이 한정된 희소 자원 → 장기적으로 가치 상승 가능
- 세계 주요 국가 및 기관들도 금을 전략적 자산으로 보유중
✨금 투자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입니다. ✨

'2️⃣ 투자 & 경제 정보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러 가치와 금 가격, 어떤 관계일까? (1) | 2025.03.05 |
---|---|
[3] 금: 지금 금을 사야 할까요? 매수 방식 분석 (ETF vs KRX 금거래소) (0) | 2025.03.05 |
2025년 대체거래소(ATS) 도입! 한국 주식시장 변화의 시작 (2) | 2025.03.04 |
[2] 금 투자, 어떻게 할까? 대표적인 금 투자 방법 4가지 (1) | 2025.03.01 |
경기 침체 우려? : 요즘 미국 시장 분위기 분석 (1) | 2025.02.27 |
- Total
- Today
- Yesterday
- 금투자
- 트럼프
- 비토코인투자
- 미국국채
- KRX금거래소
- 연준
- 정부정책
- 결혼장려금
- 인플레이션
- 금값
- 500만원
- 안전자산
- 디딤돌대출
- 미국경제
- ETF
- 결혼지원금
- gold
- 신혼부부대출
- 달러약세
- 신혼부부혜택
- gld
- 버팀목대출
- 신혼부부
- 달러
- IAU
- 내집마련
- 김치프리미엄
- genius법안
- 금
- 주식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